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삼손 톰냐 검증

sk fmc 옴니아 설정

뭐 아시다시피 FMC Solution은 WLAN/WCDMA dual mode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사업장 내에 구축된 무선랜을 통해 VoIP/데이터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내/외부에서 CDMA (WCDMA) 기반 무선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일단 SKTelink 인터넷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제경우에 맞춰서 사용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지원되는 단말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SKT Only 란 것은 SKT FMC에서만 사용되게 계약되어 있다는 말이겠죠.

 KTF FMC에서는 저 단말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공식적으로는... 뭐 어둠까지는 아니고 회색의 경로야 .... )

 

먼저 FMC 구성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IP-PBX 가 중요합니다.

IP-PBX가 없다면 저 부분이 인터넷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의 서버가 될 것입니다.

(IP Phone의 설정에 보면 접속하는 서버가 있습니다.)

IP-PBX
 - IP-PBX IP Address: VoIP Client에 입력(예: 203.xxx.xxx.100)
 - FMC Client 사내 가입자 번호 할당(예: 7100, 7200) 및 각 가입자에 대한 Password

무선LAN
 - 무선 SSID 및 ID/Password

 - 보안 미적용 경우: ID/Password 불필요

 - 보안 적용 경우: WEP Key 또는 IP/Password 필요

FMC 지원 단말과 VoIP Client
 - 각 단말용 VoIP Client는 마케터 담당자를 통한 직접 수령 <-- 이 부분이 개인은 힘들지요.( 거의 불가능 ㅡ.ㅡ;; )
 

먼저 ActiveSync 를 통하여 파일을 옴니아로 복사합니다.

파일명이 다음과 같은데 보시면 알겠지만 ^^ ...

Samsung_TZone_Dialer_OMNIA_CD24_1530_DEMO.CAB

아직 부족한 부분이 파일명에서부터 보이죠?

(하지만 잘 된다는거....개발자가 소심해 보입니다 ㅎㅎ ....면피용 파일명인듯 ^^;; )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시작을 위한 확인 화면이 나타나며 OK를 누르면 단말이 재시작합니다.

단말이 재시작하고 나면 설정하는 부분을 불러내야 하는데 이 부분이 참 멋집니다..

무슨 스파이 작전도 아니고.....

(여기서 한참 헤맸답니다.... 뭔 숫자를 누르라는데...당췌 어케하라는건지....)

각 폰별로 설정창을 불러내는 번호가 있습니다.

옴니아의 경우 아래와 같이 번호누르는 화면을 선택하고 137925866 의 비밀스런 숫자를 누릅니다.

 

(다른폰이야...걍 숫자를 누르면 되지만...옴니아의 경우라..헤맸나 봅니다... ㅜㅜ)

블랙잭/미라지/옴니아 등은 다 고유의 숫자가 있습니다.....

 

일단 이 부분을 통과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창이 나옵니다. 짜잔~

 

위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전화번호, 표시번호 등에 S가 붙어 있습니다.

결코 쉽게 설정을 할 수 없게 하겠다는 의지인지.....

(SKTelink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는 저는 이부분에서 서비스를 소호에서 비지니스로 바꾸어야 했습니다.

소호에는 비밀번호 등 인증서비스가 없고 비지니스부터 있구요...

비지니스의 멀티폰 부가서비스로 제 옴니아를 기존폰에 추가를 해야 했습니다.)

서버주소는 IP Phone에 보시면 나와있는 주소이고요.. IP-PBX의 주소가 되겠죠...

도메인 주소는 걍 서버주소를 사용해도 됩니다.

SIP 포트는 각 기종별로 서버(IP-PBX)에 등록되어 있는 값을 적도록 합니다.

이부분때문에 개인이 사용하기가 힘듭니다.

서비스사에서 저 비밀번호랑 포트를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죠..

인터넷전화회사서는 이 서비스를 하고 싶지만 이통사에서는 하고 싶지 않은 서비스이기에

아직 서로의 절충점을 찾지 못해 그런것이겠죠...

(전략적으로 기업폰은 많이들 하고 있지만 개인은 아직까진 무리인가 봅니다..)

 

일단 여기까지 하고 저장후 종료를 한다음 재부팅을 한번 해줍니다.

시작 - 프로그램에 가서 평소 사용에 대한 설정을 해 줍니다.

  

 

이제 WI-FI가 설정된 상태에서 초기 화면을 보면 다음과 같이 보이게 됩니다.

 

상단 시작 옆에 보면 T라고 써진 새로운 안테나바가 보이게 됩니다.

이제 VOIP를 사용할 수 있는 T-Zone 세팅이 끝난 것입니다.

이제부터 거는 전화는 위 설정에서 VOIP로 발신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인터넷전화(VOIP)를 통하여 통화가 되게 됩니다.

 

통화품질은 상대방은 전혀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이고..

다만 전화를 거는  제쪽은 프로그램을 거쳐서 되는 것이기에 한 톤 낮은 느낌이랄까..

(보이스 채팅할때의 느낌??? 그거보단 좋긴 하지만..)

그러나 통화에는 무리가 없습니다. 상대방이 전혀 눈치를 못 채기 때문이죠..

다만 VOIP 상태에서 통화중일때...휴대폰으로 전화가 오면....기존 통화가 끊어져 버립니다.

모든게 폰 우선이기 때문이죠 ^^;;

 

그리고 전화를 걸면 상대방 전화기에 CID 즉 번호가... FMC가 연결된 인터넷전화 번호가 뜨게 됩니다.

휴대폰 번호가 아니고 말이죠...

사무실서 설정한걸 집에와서 해도 똑같이 됩니다. WIFI 만 연결될 수 있다면 말이죠..

여기서..현재 KT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와이브로 서비스 중 egg를 이용하면 경기도권 내에서는

어딜 가도 이동하면서도 사용가능하단 얘기가 되겠습니다. ^^

 

여하튼 이렇게 사용하면 비싼 휴대폰 요금이 엄청 절약되는데....

이통사가 원하지 않는 일이어서 그런지...언제 정식 서비스가 될런지는....

여기까지 설정 후 사용기를 간단하게나마 남겨보고요..

어여빨리 정식 서비스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