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는 자유롭게, 결론은 ‘귄위적’으로…국내 회의 스타일
2009. 11. 19 (0) 뉴스와 분석 |
회의를 안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회의 스타일은 어떤 것일까?
직장인들은 ‘자유롭게 발표하고 어떤 의견이라도 존중하는 분위기’의 회의스타일을 가장 선호하나, 현실에서는 대부분 ‘상급자의 의견 중심으로 결론이 나는 권위적인 분위기’의 회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장 회의하기 싫은 직장동료 유형은 ‘자신의 생각만 주장하는 고집쟁이형’이 가장 많았다.
잡코리아가 남녀직장인 76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회의문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회의스타일(*복수응답)은 자유롭게 발표하고 어떤 의견이라도 존중하는 ‘자유발표형’으로 응답률 5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빠르게 결론을 내어 최대한 회의시간을 줄이는 ‘속전속결형’을 선호하는 직장인도 51.5%로 근소한 차이로 많았다.
다음으로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유머를 준비하는 ‘유머형’(24.5%) △웬만한 주제는 인터넷 메신저나 화상회의 등 온라인을 이용하는 ‘인터넷형’(19.4%) 순으로 선호하는 직장인이 많았다.
연령대에 따라 선호하는 회의 문화도 달랐다. 20대 직장인 중에는 ‘자유발표형’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53.6%로 가장 많았던 반면, 30대와 40대이상의 응답자 중에는 ‘속전속결형’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각 54.7%, 55.0%로 가장 많았다.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회의시간은 ‘평균 30분미만’이 가장 적당하다는 응답이 73.7%로 10명 7명이상에 달했다. 시간대별로는 ‘15~30분미만’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44.2%로 가장 높았고, 이어 ‘15분미만’의 짧은 시간 안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응답도 29.5%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현재 근무하는 직장의 회의스타일(*복수응답) 중에는, 상사(상급자)의 의견 중심으로 결론이 나는 ‘권위형’이 37.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속전속결형(36.2%) △자유발표형(33.9%) 결론이 날 때까지 긴 시간 계속되는 △마라톤형(20.7%) 순으로 많았다.
또 ‘현재 직장의 회의스타일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바뀌어야 한다’는 응답자가 77.1%로 압도적으로 높아, 대부분 직장인들이 현재 직장의 회의스타일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회의시간에 다른 동료의 의견을 듣는 것 같은데, 결국 자신의 의견을 버리지 않는 ‘고집쟁이형’ 동료와 회의가 가장 꺼려진다고 답했다.
함께 회의하는 것이 꺼려지는 직장동료 유형(*복수응답)을 조사한 결과, ‘고집쟁이형’이 47.5%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는 △다른 사람의 의견이 자신의 생각과 조금만 달라도 발끈해서 반박하는 ‘발끈형’(38.5%)이나 △다른 사람의 의견을 끝까지 듣지 않고 중간에 말을 자르는 ‘말끊기형’(35.9%) △다른 사람의 의견을 주의 깊게 듣지 않는 ‘자기맘대로형’(35.9%)의 직장동료는 함께 회의하기가 꺼려진다고 답했다.
이외에 △상사의 의견에 무조건 동조만 하는 ‘무조건 찬성형’(18.8%)이나 △회의 주제에서 벗어나는 이야기만 하는 ‘일탈형’(14.0%) 직장동료도 회의 기피대상으로 꼽혔다.
그럼 효율적인 회의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없어져야할 관행은 무엇일까.
직장인 5명중 2명이상인 49.3%는 회의 자체가 필요한 것인지 의문이 생기는 ‘불필요한 회의’를 줄여야 한다고 답했다.
이외에는 △회의는 했으나 결론 없이 다음 회의로 미루는 ‘결론없는 회의’(21.3%) △회의 주제를 사전에 공유하지 않고, 참여해서 처음 듣게 하는 등 ‘준비없는 회의’(15.6%)와 △회의 주제를 듣고도 의견(아이디어)없이 참여하는 ‘성의없는 회의’(7.3%) 순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뉴스 > 최신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R기사분석-이델/헤경-입사지원서/인크루트 (0) | 2009.11.20 |
---|---|
건설 신입 구직자 "2500만원까진 받아야" [뉴델리] (0) | 2009.11.13 |
20∼40대 취업자 줄고 50대 이상은 대폭 늘어 [파이낸셜-경제] (0) | 2009.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