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위기의 여파로 임금교섭이 타결된 기업들의 평균
임금인상률이 1.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이수영)가 직원 100명 이상인 989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임금협상 실태를 조사해 23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임금교섭이 끝난 기업들의 평균인상률은 작년의 5.1%보다 3.7%포인트 낮은 1.4%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직원 100~299명 기업 1.8%, 300~499명 기업 1.5%, 500~999명 기업 1.1%, 1천 명 이상 기업이
0.6%의 인상률을 보였다.
대기업의 인상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경영여건 악화에 따라 임금인상을 억제하는 분위기가 확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은 기업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조사 대상 기업의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월평균 임금(상여금 포함)은 218만8천원으로
조사됐다.
이를 규모별로 보면 직원 100~299명 기업 195만1천원, 300~499명 209만원, 500~999명
216만7천원, 1천명 이상은 237만원으로 조사돼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초임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267만2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건설업 211만2천원, 제조업 207만7천원, 운수ㆍ창고 및 통신업 204만원,
도매 및 소매업 194만6천원
순이었다.
직급별 평균 초임은 부장 482만1천원, 차장 409만6천원, 과장 355만2천원, 대리293만4천원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연봉제 시행 기업의 직급별
임금수준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6~1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봉제가 임금수준이 높은 대기업 중심으로 도입됐고, 연봉제를 도입할 당시
근로기준법상 `불이익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소 높게 임금을 인상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편 올해 임금협상에서 노조 요구안과
사용자 제시율 간 격차는 4.0%포인트로,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3.8% 포인트)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다.
노조는 평균 5.1%, 사용자는 평균 1.1% 인상안을
제시했다.
임금조정 타결을 위한 협상기간은 평균 1.7개월, 협상횟수는 4.3회로 나타나 작년(각 2.0개월, 7.5회)보다 모두
줄었다.
올해 임금조정 결과에 대해 전체 응답기업의 8.6%만이 `무리하게 임금을 인상했다`고 밝혀 1999년 이래 역시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경제위기 속에서 사회 전반으로 노사협력 분위기가 확산한 모습을 나타냈다.